일제의 식량 약탈 정책/산미 증식 계획/한국 농민의 몰락

[일제의 식량 약탈 정책]

일제는 한국을 강점한 이후 줄곧 한국을 일본의 식량 및 원료 공급지이자 상품 시장으로 만들기 위해 애를 썼다. 특히 제1차 세계 대전에 참가해 자본주의의 기틀을 마련한 일제는 그들의 공업화 정책에 따라 생산이 부족하게 된 식량을 한반도에서 착취하려고 하였다. 이 착취 정책에 따라 산미 증식 계획이 추진되었다.

[산미 증식 계획]

일제의 산미 증식 계획은 2차에 걸쳐 시행되었다.

1. 제1차 산미 증식 계획
(1) 제1차 계획은 주로 농토 개량과 품종 개량 등에 의존하였다. 일제는 1920년 총독부 식산국에 토지 개량과를 만들어 관개 개선, 수리 시설 확충, 개간과 간척 등 토지 개량 사업을 추진하였다. 또, 쌀 생산을 늘리기 위한 품종 개량과 화학 비료의 사용을 장려하였다. 
(2) 제1차 산미 증식 계획은 계획대로 추진되지 못하고 1925년에 중단되었다. 그러나 일제는 산미 증식 계획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의 쌀 소비량을 강제로 낮추면서 미곡을 일본으로 가져갔다.

2. 제2차 산미 증식 계획
(1) 제2차 계획에서도 일제는 토지 개량에 주력하였다. 1927년 총독부에 토지 개량부를 설치하고 계속 미곡 증산 정책을 추진하였다. 또, 농사 개선을 위해 우량 품종의 보급에도 힘썼다.
(2) 제2차 계획은 1930년대 세계 경제 공황과 풍작으로 인한 쌀 값 폭락으로 인하여 1934년에 중단되었다. 그러나 일본으로 실어 가는 미곡의 양은 계속 늘어났다.

[한국 농민의 몰락] 

일제의 산미 증식 계획은 수리 시설의 확대와 화학 비료의 사용 등을 통해 주로 이루어졌는데, 한국 농민들은 수리 조합비와 비료 대금 등을 감당하지 못해 빚을 지거나 일본인 지주에게 농토를 팔아야 했다. 결국 토지를 잃은 농민들은 소작농이 되거나 화전민, 도시 유민으로 전락하거나 광산이나 공업 지대로 들어가 임금 노동자로 생활을 꾸려 나갔다. 그나마 국내에서 일터를 찾지 못한 사람들은 만주나 일본으로 떠나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