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 정신의 결집/민족 자결주의의 자극

일제의 혹독한 식민지 지배 아래서 끈기 있게 민족 독립 운동을 펴 나가던 우리 민족은 1919년 드디어 거족적으로 3∙1운동을 일으켰다.

[독립 정신의 결집]

1. 독립에 대한 갈망
3·1 운동은 우연히, 그리고 갑자기 일어난 것이 아니었다. 일제의 강압적인 지배 아래서 10년 동안 전개되어 온 여러 갈래의 독립 운동이 하나로 뭉쳐 나타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독립을 갈망하는 온 겨레의 정신과 마음이 하나로 묶여 터져 나온 것이다.

2. 다각적인 독립 운동 전개
우리 민족은 국권을 빼앗긴 이후 다각적으로 독립 항쟁을 전개하였다.
(1) 국내에서는 여러 비밀 단체가 결성되어 국권 회복을 꾀하고, 학교에서도 일본 경찰의 눈을 피해 학생들에게 항일 독립 정신을 일깨웠다.
(2) 국내의 민족 운동자들 가운데 천도교의 일부 지도자들은, 국권 상실 이래 세계 정세의 변화를 주목하면서 세계사의 움직임에 따라 민중 구국 운동을 계획한 뒤, 기독교·불교·유림 대표들과 손잡고 독립 운동을 준비하였다.
(3) 국외에서도 독립 운동 기지를 마련해 동포의 단결을 꾀하는 한편, 독립군을 양성해 자주 독립을 준비하고 있었다.

[민족 자결주의의 자극] 

민족의 독립을 향한 열망이 절정에 달해 있을 때 외부적으로 자극제 구실을 한 것이 민족 자결주의이다.

1. 민족 자결주의와 약소 국가의 독립
(1) 1914년부터 시작된 제1차 세계 대전이 연합국의 승리로 끝날 무렵 미국 대통령 윌슨이 민족 자결주의를 제창하였다. 민족 자결주의란, 그 민족의 일은 그 민족 스스로 해결하도록 하자는 것으로, 당시 제국주의 강대국의 지배를 받던 약소민족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2) 그 결과 오스트리아 및 러시아의 지배를 받던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 에스파냐, 핀란드 등 여러 약소 국가가 독립하게 되었다.

2. 무오 독립 선언서와 2∙8 독립 선언서
(1)  민족 자결주의와 약소 국가의 독립은 1910년 주권 침탈 이후 일제의 탄압을 피해 국외로 망명해 활동하던 우리 민족 지도자들에게 새로운 자극과 용기를 주었다.
(2) 그리하여 만주와 연해주에서 활동하던 지도자들은 1918년에 무오 독립 선언서를 발표하고, 1919년 2월에는 일본에 유학하고 있던 우리 학생들이 2·8 독립 선언서를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