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보는 ‘경례’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일반인이 경의를 표하는 행동으로, 보통 오른손을 펴서 왼쪽 가슴에 댄다. ‘국기에 대한 경례’ 등을 할 때의 동작이다. 또 하나는 좁은 의미의 경례인데, 오른손을 펴서 이마 오른쪽 옆에 대는 것이다. 이걸 따로 거수경례라고 한다. 군인이나 경찰 등 제복을 입은 국민은 거수경례를 하게 돼 있다(대한민국국기법 시행령). 이것 때문에 경례라고 하면 거수경례를 먼저 떠올리는 것 같다.
‘국기에 대한 경례’는 국기법에 따라 규정돼 있어서 이를 지켜야 한다. 그 요건은 ‘①국기를 주목한 상태에서, ②선 채로, ③오른손을 왼편가슴에 대거나 거수경례로 한다’이다, 예전에 한 정당 대표가 국기를 향해 허리를 숙여서 경례를 해 논란이 된 적도 있었다. 넓은 의미의 경례에는 해당하지만 국기에 대한 경례는 아니다.
특히 고개를 숙여서 인사하는 동작을 두고 ‘목례’라고 하는 이도 있는데, 이 역시 조심해서 써야 할 말이다. 목례는 목으로 하는 인사가 아니라 눈으로 하는 인사다. 아마도 순우리말 ‘목’과 한자어 ‘예절 예(禮)’를 떠올려 그리 생각하는 것 같다. 하지만 그런 말은 없고 목례(目禮)는 한자어로, 가볍게 눈짓으로 하는 인사다. 물론 눈인사를 하면서 살짝 고개를 끄덕이거나 숙이기도 한다.
흔히 “가볍게 목례로 인사했다”처럼 말하기도 하는데, 좋은 표현은 아니다. 목례에 이미 인사의 뜻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기왕이면 “목례를 보냈다” “목례를 나눴다” “목례로 알은 체했다” 식으로 서술어를 다양하게 쓰는 게 우리말을 풍성하게 만드는 길이다. 특히 목례보다는 다듬은말 ‘눈인사’가 좋은 말이다. 의미도 잘 드러나고 무엇보다 단어 자체로 정겨운 느낌을 준다.
‘수인사(修人事)’도 잘못 쓰기 십상이다. ‘수’는 ‘닦을 수(修)’ 자다. 수인사란 ‘인사를 차리는 것’을 뜻한다. 이 말을 정확히 모르는 사람은 이를 ‘손 수(手)’로 착각하고 손으로 하는 인사, 즉 악수와 같은 것으로 알기도 한다. “수인사를 하고 통성명을 했다”고 하면 인사를 차리고 서로 성명을 알려줬다는 말이다.
“修人事”也经常会被写错。“수”对应汉字词是“修”,“修人事”就是指打招呼。不知道这个词的人很可能会误以为这个“수”是手,就以为是握手礼,但其实不是。“수인사를 하고 통성명을 했다”就是说打招呼,互通姓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