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과 명의 관계/조선과 여진과의 관계/조선과 일본과의 관계/국내 정세

[조선과 명의 관계]

조선 시대에는 태조 이래 친명 정책을 계속하여 왔다. 조선의 명나라에 대한 외교는 어디까지나 자주적인 것으로, 양국 사이의 화친 관계를 유지하는 한편, 명나라의 발달된 문물을 받아들이는 실리적인 정책이었다.

[조선과 여진과의 관계]

1. 여진의 유동적인 대조선 정책 
북쪽의 여진은 조선 시대에 와서 우리나라에 복종하거나 혹은 항거하는 등 유동적인 정책을 폈다.
(1) 명이 강하였을 때에는 감히 도발을 하지 못하였고, 세종이 4군 6진을 개척했을 때에는 일부가 우리에게 흡수되고 나머지는 압록강과 두만강 밖으로 쫓겨 났다.
(2) 그 후 여진족은 다시 힘을 길러 국경 지방을 침범하였다. 여진족의 행패가 극심하여 한때는 서북 4군을 철폐한 일도 있었으나, 세조와 성종 때에는 두 번이나 크게 정벌하였다. 

2. 여진의 세력 확장
우리나라의 국경을 자주 침범했던 여진족은 만주 지역에 널리 흩어져 있는 여러 부족 가운데 하나인 건주 여진이었다. 이들 건주 여진 외에 헤이룽 강 유역에는 야인 여진, 쑹화 강 유역에는 해서 여진 등이 큰 규모의 부족을 이루고 차차 통일된 세력을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3. 누르하치의 여진족 통일
15세기 후반부터 명의 세력이 약해져 랴오허 강 유역만을 지키고 다른 지방은 내버려 두자, 여진족들은 자유롭게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그 가운데 건주 여진 출신의 누르하치가 자기들 부족들과 다른 여진을 통합해 통일 국가를 이루었다.

[조선과 일본과의 관계]

고려 말부터 우리나라 해안을 침범해 오던 왜구는 조선 시대에도 마찬가지였다. 

1. 쓰시마 섬 정벌과 3포 개항
세종 원년에는 장군 이종무를 보내 왜구의 본거지인 쓰시마 섬을 정벌하고, 화를 없애기 위해 부산포와 염포, 제포의 세 항구를 열어 자유롭게 무역할 수 있게 하였다.

2. 3포 왜란과 을묘왜변
(1) 세월이 흐르면서 우리나라 남해안에 와서 사는 왜인들이 늘어갔다. 1510년에는 3포의 일본인들과 본국에서 건너온 왜구들이 합세해 살인과 약탈을 자행하였다. 이를 3포 왜란이라고 한다.
(2) 이에 우리 정부는 쓰시마 도주와 다시 임신조약을 맺어 무역량을 반으로 줄이는 한편, 3포 가운데 제포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폐쇄하였다. 그러자 장삿길이 더 어려워진 왜구는 우리 해안에 쳐들어와 약탈을 일삼았다.
(3) 명종 때에는 왜선 60여 척이 전라도 해안 지방을 휩쓸기도 하였는데, 이 사건을 을묘왜변이라고 한다.
 
3. 비변사 설치
일본인들의 거듭된 난동으로 마침내 우리나라는 일본을 적대시하여 일본과의 외교 관계를 끊고 변방 수비를 위해 비변사를 설치하였다.

[국내 정세]

1. 극심한 정쟁
조선을 둘러싼 주변국들의 정세가 긴박한 상황임에도 조선의 양반들과 선비들은 정권 다툼에만 몰두하였다.

2. 이이의 10만 양병 주장
이이는 이미 심상치 않은 국제 정세를 알아차리고 임금 선조에게 군사 10만을 길러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자고 건의하였다. 그러나 정권 다툼에만 혈안이 되어 있던 정부의 관리들은 전혀 귀담아 듣지 않았다. 결국 이이의 주장은 묵살되었고, 오히려 반대파의 공격을 받아 관직에서 물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