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의 정비 과정/중앙 정치 기구/지방 행정 제도/군사 제도

[제도의 정비 과정]

고려는 후삼국을 통일한 후 처음에는 신라와 태봉의 제도를 받아들이고, 중국 당나라의 제도도 일부 받아들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성종 때에는 안정된 왕권을 바탕으로 제도의 정비를 시작해 문종 때 완성을 보았다.

[중앙 정치 기구]

중앙의 정치 기구로는 3성과 6부를 두었다.

1. 3성
3성은 중서성(내사성), 문하성, 상서성을 말한다. 이 가운데 고려에서는 중서성과 문하성을 합해 중서문하성이라는 하나의 관부를 운영하였다. 중서문하성은 정책을 세우는 기관으로서 국정 전반을 맡아보았다.

2. 6부
상서성 아래에는 이·병·호·형·예·공의 6부를 두어 각각 실제 행정을 나누어 맡도록 하였다.

3. 기타 기관
 왕명의 전달과 군사 기밀을 다루는 중추원, 풍기 단속과 관리들의 잘잘못을 가리는 어사대, 화폐와 곡식의 출납과 회계를 담당하는 삼사를 두었다.

4. 도병마사
 도병마사는 국방 등 나라의 중요한 정책을 의논하는 문신들의 최고 회의 기관으로, 중서문하성과 중추원의 고관들이 참여하였다.

[지방 행정 제도]

1. 지방 행정 제도의 변화
지방은 처음에는 호족들의 자치에 맡겼으나, 성종 때 12목이 설치되고 지방관이 파견되면서 정비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현종 때 3경 4도호부 8목으로 나누었다가, 뒤에 크게 5도 양계로 나누었다.

2. 5도
(1) 각 도에는 지방 장관인 안찰사를 보내 다스리게 하고, 그 밑에 주·군·현을 두었다. 주에는 지사, 현에는 현령을 두어 다스리게 하였다.
(2) 모든 군·현에 수령이 파견된 것은 아니고, 오히려 수령이 파견되지 않은 곳이 더 많았다. 수령이 파견되지 않은 군현은 그 지방의 향리들이 행정을 맡았다. 현 밑에는 촌이 있어 그 마을 촌장이 다스렸다.

3. 양계 
(1) 북방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설치된 군사 행정 구역인 양계에는 병마사가 파견되었고, 그 아래에는 대부분 군사 기지인 진을 설치하였다.
(2) 병마사는 일반 행정은 물론 군사권도 가지고 있었다.

4. 향∙소∙부곡
(1) 고려 시대에는 향·소·부곡이라 하여 천민들만이 모여 사는 특수 행정 구역이 있었다. 이곳에는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고 향리의 자치에 맡겼다.
(2) 향과 부곡은 주로 농업에, 소는 광업이나 수공업에 종사하는 천민들이 모여 살았다.

[군사 제도]

중앙군인 2군 6위와 지방군인 주현군으로 편성되었다. 

1. 중앙 군사 조직 2군 6위
(1) 2군은 왕의 친위 부대이고, 6위는 수도의 경비와 국경 지방의 방어를 맡은 군대이다.
(2) 2군과 6위는 상장군, 대장군 등이 각각 정·부 지휘관이 되어 다스렸는데, 이들은 최고 국방 회의인 중방에 모여 군사 문제를 논의하였다. 중방은 무신들의 최고 회의 기관으로, 문신들의 회의 기관인 도병마사와 대조되었다.

2. 지방 군사 조직 주현군
주현군은 5도의 국방 임무 외에 나라에서 주관하는 공사에 인부로 동원되는 등 잡역도 부담하였고, 양계에서는 전투 부대의 임무를 띠었다.

3. 특수 부대
정종 때 거란의 침입에 대비해 설치된 광군과 숙종 때 여진 정벌을 위해 편성된 별무반 같은 특수 부대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