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 비판의 움직임/실학 사상의 대두/실학 사상의 핵심/실학 사상의 발생 배경/실학의 특징

[성리학 비판의 움직임]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사회가 크게 흔들리고 새로운 문화가 쏟아져 들어오면서 이에 자극받은 조선 사회는 다시 한번 스스로를 반성하게 되었다. 선비들은 성리학을 깊이 연구해 크게 발달시키기는 하였으나, 지나친 공리공론에 빠져 붕당 다툼만 늘어났을 뿐 과학 기술과 실제로 백성들을 위한 연구는 하지 않았다. 이에 몇몇 학자들은 성리학이 너무 현실과 거리가 먼 학문임을 깨닫고 성리학을 맹렬히 비판하였다. 이들은 서양의 과학 문명을 받아들여 더 과학적이고 사실적이며 실제적인 학문을 연구하였다.

[실학 사상의 대두]

조선 후기에는 청나라에서도 실제적 학문인 고증학이 발달하였는데, 청나라를 오가는 사신들을 통해 이러한 사실이 널리 알려졌다. 성리학을 비판한 사람들은 대부분 붕당 사이의 정권 다툼에서 밀려난 남인 계통의 선비들이었다. 이들은 지금까지의 성리학과 전통을 날카롭게 비판하면서 정치와 학문에 큰 변혁을 꾀해 사회의 모순을 고쳐 나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렇게 해서 등장한 새로운 학문이 실학이다.

[실학 사상의 핵심]

실학 사상은 새로운 서양 문물에 눈을 뜨고, 또 청나라 고증학의 영향을 받아 생겨났다. 따라서 실학은 조선 후기 사회의 성리학적 유교 사상과 양반 사회가 안고 있는 내부 결점으로 인해 드러난 사회적 모순을 바로잡아 민생을 안정시키고, 우리 실정에 맞는 새로운 사상을 정립해 진정한 우리 것을 찾는 데 중점을 두었다. 곧 자유로운 비판 정신을 바탕으로 학문을 연구하고, 그 성과를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실증적인 학문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실학 사상의 발생 배경]

실학 사상이 일어나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양반 중심 사회의 모순
실학 사상의 발생 원인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전후해 드러난 양반 사회의 결점과 모순에서 찾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성리학에 바탕을 둔 양반 사회의 무능력이 여실히 드러났기 때문이다.

2. 성리학의 한계
현실적으로 나타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에는 종래의 성리학이 부적합하다는 성리학의 한계를 느꼈다.

3. 사회 개혁의 필요성 
새로운 시대 정신을 담은 학문 활동을 통해 잘못된 사회와 제도를 개혁하고, 새 문화를 키워 나가야 한다는 자각이 싹텄다는 점이다.

[실학의 특징]

1.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
실학 사상을 가진 학자들은 종래의 성리학적 유학자들과는 달리 중국 중심의 생각에서 벗어나 우리의 역사와 문화에 많은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우리의 역사와 지리, 언어, 경제 군사 등에 대한 학문적 연구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2. 실용적인 학문  
실학자들은 날카로운 비판과 주장을 서슴지 않았다. 또 양반보다도 백성 전체를 위하고 그들의 생활을 돕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연구하고 제시하는 데 힘썼다. 이러한 실학은 확실한 근거와 사실에 토대를 두고 실질적으로 문헌을 통해 확인한 뒤에 결론을 내리는 학문이었다. 따라서 당연히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되는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