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로'는 띄어쓰기를 할 때도 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대로'가 명사로 쓰일 때도 있고, 의존명사로 쓰일 때도 있고, 조사로 쓰일 때도 있기 때문입니다.
“대로”有时需要隔写,有时不需要。因为它既可以作名词,也可以作依存名词,还可以作助词。
사전적 의미부터 알아본 후에 계속 설명하겠습니다.
先来看看它的词典释义。
대로(명사) : 큰 길.(大路)
名词:大路
대로(의존명사) :
1. 어떤 모양이나 상태와 같이.
2. 어떤 상태나 행동이 나타나는 그 즉시.
3. 어떤 상태나 행동이 나타나는 족족.
4. 어떤 상태가 매우 심하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
5. 할 수 있는 만큼 최대한
依存名词:
1、按照、照样、依照
2、立即、立刻、马上
3、只要……就、一……就
4、表示某种状态非常严重
5、尽量、尽可能
대로(조사) :
1. 앞에 오는 말에 근거하거나 달라짐이 없음을 나타내는 보조사.
2. 따로따로 구별됨을 나타내는 보조사.
助词:
1、按照、依照
2、分别、各自
'대로'라는 단어가 3가지나 있는 것도 아픈데, '대로'는 뜻이 다섯 가지나 되고, '대로'는 뜻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사전적 의미만 보면 머리가 지끈거릴 텐데요. 우리가 알고 싶은 내용은 띄어쓰기에 관한 것이지 단어의 뜻에 관한 건 아니니까요. '대로' 띄어쓰기에서 주의 깊게 살펴야 할 점은 '대로' 앞에 쓰이는 단어가 체언인지 관형어인지입니다. 그것만 구분할 수 있다면 정확한 띄어쓰기를 할 수 있습니다.
1~2번의 '대로'는 '큰 길'이라는 의미를 가진 명사입니다. 이 명사는 사실 '도로'라는 정확한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헷갈리는 부분이 아닙니다.'도로(道路)'의 의미를 갖고 있는 '대로'는 항상 띄어쓰기를 하면 됩니다.
第1、2条例句的“대로”是名词,表示大路、道路,所以应该不容易弄混。作名词时,它需要隔写。
3~6번의 '대로'는 의존명사로 쓰인 경우입니다. 의존명사 '대로'는 그 앞에 오는 단어가 꼭 용언의 활용형인 관형사형이 돼야 합니다. 관형사형은 용언의 어간에 '-(을)ㄹ'이나 '-는(으)ㄴ'이 붙어 관형사의 역할을 하게 하는 문법 형태를 말합니다. 3~6번의 예문을 보면 '대로' 앞에 오는 단어가 '느낀, 도착하는, 될, 급한'과 같이 용언의 관형사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7~10번의 '대로'는 조사로 쓰인 경우입니다. 따라서 조사의 특성답게 앞에 오는 체언에 붙어 사용됩니다. 이때 이 조사가 어떤 사전적 의미를 갖는지를 실제 대화를 하면서나 글을 쓸 때마다 확인한다는 것은 사실상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앞 말에 체언이 오고 그 뒤에 '대로'가 쓰인다면, '도로'라는 의미를 갖지 않는 이상 항상 붙여 쓰면 됩니다. 7~10번의 예문을 보면 '대로' 앞에 오는 단어가 '법, 규칙, 사실, 그것'과 같이 체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