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이를 소개할 때 “그와 나는 막역한 친구”라고 한다면 ‘막역한 친구’가 어떤 사이인지 곧바로 와닿지 않는 사람이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래서 ㉠처럼 ‘막연한 친구’를 잘못 썼나 하는 오해를 할 수도 있다. ‘막연하다’는 뚜렷하지 못하고 어렴풋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막연한 친구’는 거리가 먼 친구로 그런대로 의미가 통하기 때문이다.
介绍某人时说“他和我是莫逆之交(그와 나는 막역한 친구)”的话,我想应该有些人没法马上理解。所以就会出现像选项A一样,以为是把茫然的写错了。“막연하다”是指模糊、不清晰,所以自然而然地觉得“模糊的朋友(막연한 친구)”是指不亲的朋友。
좀 억지스럽지만 ㉡처럼 막가는 친구 사이로 오해할 수도 있겠다. ‘막’자에 집착하다 보면 혹시나 어떤 계기로 사이가 틀어져 서로 막 나가는 친구로 생각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일부에서는 젊은 층의 문해력을 탓하기도 하나 이들이 문자보다는 영상과 이미지에 익숙한 세대라는 점을 감안하면 어려운 한자어에 약하다는 것은 일면 이해 가는 부분이 있다. 평소 잘 보지 못하는 단어가 나올 때는 사전부터 찾아보는 버릇을 들이면 어휘력 부족을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