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有声】蓝牙为什么叫“蓝牙(Bluetooth)”
에어팟과 무선 키보드, 무선 마우스의 공통점은? 바로 블루투스죠. 선 없이도 매우 작은 배터리 전력으로 10m 안팎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무선 연결 기술을 뜻합니다. 그런데 이상하지 않나요? 왜 무선 연결에 ‘파란 이빨(Bluetooth)’이란 이름이 붙은 거죠?
룬 문자에서 따온 블루투스 기호
블루투스 기호는 룬 문자에서 따왔습니다. 블루투스는 로마자 알파벳의 H와 B에 해당하는 룬 문자 ᚼ, ᛒ 두 개를 합쳐 만들었죠. H와 B는 무엇의 이니셜일까요?
속설 1. 파랗게 파랗게 물들었네, 블루베리를 좋아해서 블루투스?
‘파란 이빨’을 찾으려면 1,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배경은 10세기, 북유럽의 덴마크 왕국. 그곳엔 하랄드 블로탄 고름손(Harald Blåtand Gormsen)이라는 왕이 있었습니다. 하랄 1세로 알려져 있죠.
당시 유럽에선 왕에게 별명을 붙이는 일이 잦았대요. 이를테면 ‘비만왕’ 카롤루스 3세, ‘태양왕’ 루이 14세, ‘블러드 메리(피의 메리)’라고 불린 메리 1세가 있죠.
하랄 1세는 블루베리를 매우 좋아했기에 치아가 파랗게 물들어서 ‘파란 이빨왕’이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합니다. 그럴듯하죠? 그런데 말입니다. 블루베리의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예요. 10세기 차디찬 바이킹의 땅 북유럽에서 왕의 이빨이 새파래질 만큼 수많은 블루베리가 자라고 있었다고요?
속설 2. 블로탄 블루툰 블루투스! 영어로 옮기다 바뀌어버렸다?
하랄 1세의 이름은 아까도 말씀드렸듯 ‘하랄 블로탄 고름손’인데요. 여기서 ‘블로탄’은 ‘검은 피부의 영웅’을 뜻한다고 합니다. ‘블로탄’을 영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블루투스’로 바뀌었다는 얘기도 있어요. 어떤 속설이 정답인지는 알 수 없지만, 하랄 1세에게서 따온 것은 확실해요.
모험 소설 읽다가 ‘블루투스’ 발견한 엔지니어
짐 카다크(Jim Kardach)는 미국 반도체 회사 인텔(Intel)의 엔지니어였습니다. 1997년, 그는 스웨덴 소설가 프란스 G. 벵트손(Frans Gunnar Bengtsson)의 <바이킹스>와 <긴 배(Long Ships)>를 읽고 있었는데요. 자신이 수행하던 프로젝트에 ‘블루투스’란 이름을 붙였죠. 생각보다 입에도 착착 붙고 흥미롭기까지 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의 공식 명칭으로 결정되기에 이르렀습니다.
重点词汇
안팎 【名词】左右;表里,里外;夫妇
이니셜 【名词】首字母
거슬러 올라가다 【惯用】逆…而上;追溯,溯洄
속설 【名词】传说,老化,俗话
착착 【副词】紧紧地,合口味。亲密貌
重点语法
-기에
限定:用于谓词后
大意:表示理由。
•前一分句的主语多为第二人称或第三人称。
•后一分局不能用命令句和共动句。
•可以与时制词尾“았/었/였”、“겠”搭配使用。
•口语中用“길래”。
하도 기침이 나기에 약을 먹었어요.
양복값이 적당하기에 한 벌 샀습니다.
区别:
1.与助词“에”表示理由时的意思相同。
2.语感比“기 때문에” 弱,所以不能与之通用。
-듯(이)
用于谓词或-이다的语干后
1) 用在谓词定语形后(这时保有定语时制原有的时制意义),或直接用在谓词的末尾(这时超越了时制意义),表示不肯定语气,相当于“好像……似地”、“似乎”的意思。作状语。
내가 전에도 말했듯이 저 앤 정말 공부를 잘해.
사람마다 생김새가 다르듯 생각도 다르다.
2)表示比喻,相当于“好像……似地”、“似乎”的意思。
비가 물퍼붓듯(이) 쏟아진다.
땀이 비 오듯이 쏟아졌다.
그는 물 쓰듯 돈을 썼다.
3)表示实际并非如此而自以为如此或装成如此的样子,相当于“好像……似地”、“似乎”的意思。
여우는 친한 벗인듯(이) 웃으면서 살금살금 수탉에게로 다가갔다.
为了加强语气,有时还和添意词尾“나(이나)”搭配使用。意为“就像……似地”。
그는 마치 연설이나 발표하듯이 그 이야기를 한시간을 하였다.
相关阅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