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달라진 명절

1. 경연 대회개인이나 단체가 모여서 연기나 기능 따위를 겨루는 대회.
무용 경연대회에 참가해서 1 등상을 받았다.

2. 꼼짝 : 느린 몸짓으로 좀스럽게 움직이는 모양.
꼼짝없이, 꼼짝도 못하다. 꼼짝만 해도.

끔짝 마. 움직이면 쏜다.
다리를 다쳐서 꼼짝도 할 수 없어요.

3. -(으)련만 : '-(으)련마는’ 의 준말로서 선행문에서는 어떤 사실을 추측하는 내용이 표현되며 후행문에서는 그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현실적 상황이 나타난다. 종결어미로 쓰일 때는 추측하거나 희망하는 내용이 현실과 다르거나 이루어지기 어려움을 나타낸다.

내 충고를 좀 받아들이면 좋으련만들은 척도안해요.
서로 조금씩만 양보하면 일이 잘 풀리련만 아무래도 그럴 것 같지 않아요.
회원들이 적극적으로 협조하면 어렵지 않으련만 관심들이 없나 봐요.
아이들이 공부만 잘 하면 남부러울 것이 없으련만.
자신감을 가지고 꾸준히 노력하면 좋은 성과가 있으련만.

4. 온통 : 있는 대로 모두. 모조리.

봄이 되니 산과 들이 온통 파람다.
하루종일 밖에서 놀더니 옷이 온통 흙투성이구나.

5. 한심스럽다 : 가엾고 딱하게 보이거나 여겨지다.
한심스러운 일. 한심스럽게 보이다.

시험에 떨어진 것이 한심스러워 눈물이 나왔다.

6. 제대로 : 제 격식대로. 마음 먹은 대로. 마땅한 정도로.

제대로 만든 물건이 잘 팔리는 시대가 왔다.
일이 제대로 되지 않았지만 화를 낼 수 없었다.

7. 실천에 옮기다:실제로 행하다.
말보다 실천에 옮기는 일이 중요하다.

2. 민속촌에서

1. 그네 : 가로 뻗은 나뭇가지 따위에 두 가닥의 줄을 매고 밑싣개에 올라타 몸을 앞뒤고 움직이게 만든 시설, 또는 그 놀이. 민속적인 놀이의 하나.
그네를 타다. 그네를 뛰다.

그네는 단오에 하는 민속 놀이들 중에서 가장 유명한 놀이이다.

2. 상관없다 : 서로 관련되는 바가 없다. 괜찮다. 염려할 것 없다. 관계 없다.
상관하다. 상관이 있다.

인부들이 추위에도 상관없아 일을 계속했다.
남의 일에 상관하지 마.

3. 한데 : 한 곳. 한 군데.

사람들이 한데 모여서 집회를 열었다.

4. 사회상:사회의 모습. 사회의 실태. 사회의 현상.

그 시대의 언어는 그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한다.

5. 농악 놀이:농촌에서 명절이나 공동 작업을 할 때 민속 음악을 연주하면서 펼치는 놀이.
불놀이. 윷놀이.

요즘은 농악 놀이가 점점 사라져 가니 아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6. 한눈에 보다 : 한번에 전부 들러보다.

서울시내를 한눈에 보기 위해 남산에 올라갔다.
민속촌에 가니까 한국인의 생활상을 한눈에 볼 수 있었다.

7. 한판 : 일이 벌어진 한 자리.

대학로에서 사람들과 한판 어울려 신나게 탈춤을 추었다.
설날에는 동네에서 윷놀이 한판을 벌이곤 한다.

3. 결혼 생각은 없는데

1. 평하다 : 사물의 옳고 그름, 좋고 나쁨, 잘되고 못됨 등을 들어 평가하다.

남의 일을 평한다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심사위원의 평이 좋아서 우수작이리라고 예상됐다.

2. 실제로:있는 그대로. 나타나거나 당하는 그대로.
실제 상황.

무슨 일이든지 실제로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3. 구박받다 :  (고의적으로) 못 견디게 해 괴롭힘을 당하다.
구박하다. 시어머니 구박.

불쌍한 사람들을 구박하면 못쓰는 법이다.
이젠 며느리가 시어머니에게 구박받던 시대는 다 지나간 것 같다.

4. -덕에:다른 사람이나 사물의 은혜, 공덕, 덕택, 능력 등에 의해서 좋은 결과가 생김.
덕분에. 덕택에.

부모님 덕에 공부를 마칠 수 있었다.
현대는 컴퓨터 덕에 모든 생활이 간편해졌다고 말할 수 있다.

5. 뚜렷하다:흐리지 않고 아주 분명하다.
뚜렷이 떠오르는 기억.

서양 사람은 동양 사람보다 눈, 코, 입이 뚜렷한 편이다.

6. 놀부 심보: 인색하고도 심술궂은 나쁜 마음씨를 말한다

놀부 심보를 가진 사람이 많은 사회는 인정미가 없는 사회이다.
친구를 많이 사귀려면 그런 놀부 심보를 버려야 할 거야.

7. -자니(까)____ : 동작 동사에 붙어 선행문의 동작을 의도함에 따라 후 행문에 있는 경험을 하게 됨을 나타낸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고 하니(까)____', '(으)려고 하니(까)____' 처럼 의도를 나타내기도 한다.

먹고 싶은 것을 참자니 정말 괴로워요.
알면서 모르는 척하자니 진땀이 다 나요.
원하는 대로 하자니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군요.
남은 음식을 버리자니 아깝고 먹자니 너무 배가 부르군요.
충고를 하자니 친구의 마음을 상하게 할 것 같고, 입 다물고 있자니 친구로서 할 도리가 아니군요.

8. 생활 능력이 없다 : 사회 생활을 해 나가는 데 필요한 힘, 특히 경제적인 힘이 없는 것을 말한다.

실업률의 중가로 생활 능력이 없어지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결혼 조건으로 신랑감이 생활 능력이 있는지 없는지를 따져요.

9. 판소리 : 조선 왕조 영조시대 이후 서민들이 창극에 붙여서 부르던 노래로 심청가, 춘향가,적벽가, 흥부가, 변강쇠 타령, 장끼 타령 등이 남아 있음. 한국의 판소리는 알아듣기가 대단히 어렵다.

点击查看更多《延世大学韩国语教程5》课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