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국민들의 반대와 보안회 조직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

러일 전쟁 당시 일본은 전 국토의 약 30%에 해당하는 국가 소유 황무지의 개간권을 일본에게 양도할 것을 요구하였다. 곧 황무지 개척권 위임 계약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한국을 그들의 식량 및 원료 공급지로 삼음으로써 종래의 지위를 더욱 강화하는 한편, 일본 농민을 한국에 이주시킴으로써 인구의 과잉 문제까지 해결해 보려는 목적에서였다.

[국민들의 반대와 보안회 조직]

1. 국민들의 반대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 사실이 알려지자 국민들은 분노하여 반대 운동을 펴 나갔다. 특히 전직 관리와 유생들이 곳곳에 격문을 붙이고 황제에게 상소를 올려 항의하였다.

2. 농광 회사의 설립 
황무기 개간권에 대한 반대 여론이 일어나자 일부 민간 실업가와 관리들은 신설하는 농광 회사에 개간의 권한을 달라고 궁내부와 농상공부에 건의하였다. 이는 황무지 개간권뿐만 아니라 당시 외국인들이 노리고 있던 광산 개발권까지도 포함시켜 국내의 모든 이권에 대한 외국인의 침탈을 막기 위함이었다. 이를 주도한 사람들은 이도재, 김종한 등이었으며, 1904년에 농광 회사는 정부로부터 정식 허가를 받았다.

3. 보안회 조직
농광 회사에 대한 일본의 즉각적인 반발이 있자, 관리들과 유생들은 더 강력한 반대 운동을 펴기 위해 보안회를 조직하였다. 그리하여 황무지 개간권을 일본에 주어서는 안 된다는 범국민적인 반대 운동을 벌여 결국 일제의 요구를 꺾는 데 성공하였다.

<더 알아보기>

[일제의 보안회 탄압]

보안회의 활동이 날로 열을 더해 국민의 여론이 커지자, 일제는 헌병과 경찰을 동원하여 신기선, 송인섭, 송수만, 원세성 등 핵심 간부들을 체포하였다. 나아가 일제는 보안 회의소와 한어 학교를 없애고 일본군에 대항하는 회원에게 총검을 들이대기도 하였다. 보안회는 '촌척의 땅도 외국인에게 절대 주지 않겠다'는 정부의 발표를 듣고서야 해산하였다.